사피엔스 - 유발 노아 하라리

0. 이 책은 처음 사피엔스의 종말이라는 결론으로 큰 화제가 되었던 책이다. 물론 홍보를 위해서는 자극적인 결론이 필요했을 것이며, 그 것이 의도라면 성공적이다. 하지만 책을 쭉 읽다보면 그런 결론은 지극히 자연스런 사유에 의해 나오는 것이지 어떤 뜬금없는 폭발적 주장은 아니다.

1. 사피엔스가 지구의 지배자가 된 것은 왜일까? 다른 종과는 다른 문자, 언어 체계 등으로 소위 고 수준의 통신 및 지식의 전파가 가능한 것이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그 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인지혁명'이다. 사피엔스는 인지혁명을 거치며 지식의 전파와 더불어 사회적 체계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다. 즉, 실존하지는 않는 가상의 실체에 대해 생각하고 전달하는 능력이 생긴 것이다. 그 것은 집단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아주 중요한 요소이며, 사피엔스라는 나약한 종이 서로 힘을 합쳐 무엇인가 이루는 계기가 되었다.

2. 사피엔스는 '농업혁명'을 겪게 된다. 강가의 비옥한 토지에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농경을 하게 된다. 이 농경에서 나온 잉여의 생산물은 가상의 실체를 유지하기 위해 잉여 짓을 하는 잉여 인간까지 먹여 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 풍요는 다시 공고한 사회, 종교적 체계를 만들어 내는데 일조한다.
 하지만 모여 사는 것이 반드시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수렵 사회와 달리 농경 사회는 영양이 탄수화물로 치우치는 결과를 나았고, 전염병도 쉽게 돌게 된다. 즉, 풍요하는 하지만 인류에게는 결코 축복만은 아닌 것이 된다.

3. 이러한 잉여 자원이 만들어낸 가상의 실체 중 최고는 역시 돈이었다. 물물 교환을 하고 부를 축적하며, 더 나아가서는 과학을 발전시키고 제국을 건설하게 했다. 그리고 '과학혁명'이 일어나 인간은 생명에 대한 도전을 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사이보그의 출현, 유전자 조작을 거친 새로운 인류가 탄생할 가능성이 생긴다.

4. 일단 이 책은 재미있다. 그리고 잘 쓰여진 책이다. 그만큼 번역도 매끄럽게 잘 되어있는 듯 하다. 기본적으로 사회 체계에 대한 내 생각(가상의 실체)와 비슷한 면이 많이서 더 재미있게 읽은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바로 이런 내용 때문에 약간 냉소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논리 전개 자체가 매끄럽게 느껴지므로 읽는데 부담은 없다. 한 번쯤은 읽어볼만한 책이다.

인생논어 - 1

  0. 조형권님이 쓴 <<인생논어>> 를 읽고 필사한다는 생각으로 구문들을 옮겨 적으려 한다.  1. 나만의 속도를 유지하라.   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 (자왈, 사부주피 위력부동과 고지도야)  해석: 활을 쏠 때 ...